==================================================================================================

※ 해당 내용의 경우 VMware를 이용한 로컬 네트웍 상에서 작업을 하는 내용을 안내하여 드립니당~!

[ 시스템 설정을 위한 내용 ]

설치된 Base Windows  : Windows 7 Pro
설치된 CentOS Server  : CentOS 6.4
설치된 VMware Program : VM workstation 9.0.2

==================================================================================================


 - NFS(Network File System) -

1. 정의

   - 원격서버에서 공유한 File-System 을 클라이언트에서 mount 하여 관리하는 원격관리 서비스



2. 특징

   - Dir 를 공유하는 윈도우즈와 동작하는 내용이 유사하지만 File-System 자체를 공유하므로 파티션으로 적용된다.

   - Portmap 을 이용하여 통신하기 때문에 유동포트 이다.

※ portmap, rpcbind, sunrpc 모두 동일한 패키지를 나타내는 명칭이다.



3. Package

[ NFS 관련 PKG ]

- nfs-utils-....rpm

nfs-utils-lib-....rpm

 

[ Portmap 관련 PKG ]

- rpcbind-...rpm



4. nfs 활성화

   - #/etc/rc.d/init.d/nfs restart



5. 동작상태 확인

   - #netstat -atunp | grep nfs      : 해당내용으로 확인시 확인불가 (portmap 통신을 하므로)

   - #rpcinfo -p



6. 이용

 [ Server ]

  - #/etc/rc.d/init.d/nfs restart / #rpcinfo -p   : 데몬 활성화 및 동작상태 확인

   * 설정파일 : /etc/exports

=================================================================================
[ Share Dir ]        [ Access allow Host/Net ](Option)
/nfs_dir1               10.1.1.129(rw,no_root_squash,sync)         : HOST 방식
/nfs_dir2               10.1.1.0/255.255.255.0(ro,sync)                : Network 방식
/nfs_dir3                *(rw,no_root_squash,sync)                    : All Network 방식
=================================================================================
 * 옵션 
  - sync :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동기화를 자동으로 한다.
  - secure : 클라이언트 마운트 요청시 포트를 1024 이하로 할 때 이용


      - NFS 명령어 -
         - #exportfs -v    : nfs 서비스를 통해 동작하는 Share 정보 확인
         - #exportfs -ra   : nfs 서비스 정보를 갱신 (nfs 데몬 재실행이 필요없다.)



 [ Client ]

  - #/etc/rc.d/init.d/nfs restart / #rpcinfo -p   : 데몬 활성화 및 동작상태 확인

  - #mount -t [파일시스템 형식] [NFS서버:/공유경로] [MP]   : mount 를 이용하여 Server 측의 공유시스템을 적용



7. 동작환경

 [ 그림참조 ]

 



 [ NFS-Server : 서비스 ]
※ nfs 서비스의 rpc 유동포트를 고정하기.

   ⓐ #vi /etc/sysconfig/nfs  : lockd, mountd, rquotad 포트를 수정
======================================================================
 - #RQUOTAD_PORT=875 -> RQUOTAD_PORT=4003
 - #LOCKD_TCPPORT=32803 -> LOCKD_TCPPORT=4001
 - #LOCKD_UDPPORT=32769 -> LOCKD_UDPPORT=4001
 - #MOUNTD_PORT=892 -> MOUNTD_PORT=4002
======================================================================


   ⓑ #system-config-firewall 에서 해제 후 #cat /etc/sysconfig/iptables 로 확인
=========================================================================================
rpcinfo -p 로 확인하여 출력되는 포트 중 "nfs, rquotad, nlockmgr, mountd, portmapper"
서비스가 사용하는 포트를 해제한다. (tcp/udp 모두)
-A RH-Firewall-1-INPUT -m state --state NEW -m tcp -p tcp --dport 111 -j ACCEPT
-A RH-Firewall-1-INPUT -m state --state NEW -m udp -p udp --dport 111 -j ACCEPT
-A RH-Firewall-1-INPUT -m state --state NEW -m tcp -p tcp --dport 2049 -j ACCEPT
-A RH-Firewall-1-INPUT -m state --state NEW -m udp -p udp --dport 2049 -j ACCEPT
-A RH-Firewall-1-INPUT -m state --state NEW -m tcp -p tcp --dport 4000:4003 -j ACCEPT
-A RH-Firewall-1-INPUT -m state --state NEW -m udp -p udp --dport 4000:4003 -j ACCEPT
=========================================================================================





 - Autofs(Auto File System) -

1. 정의

   - 클라이언트에서 File-System 을 사용시 자동으로 마운트,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일정시간 후 자동으로 언마운트 해주는 데몬



2. Package

   - autofs-....rpm



3. autofs 활성화

   - #/etc/rc.d/init.d/autofs restart



4. 동작상태 확인

   - #netstat -atunp | grep autofs



5. 이용

 [ Server ]

   ** NFS 부분의 "Server" 를 참조하세요.


 [ Client ]

  - #/etc/rc.d/init.d/nfs restart / #rpcinfo -p   : 데몬 활성화 및 동작상태 확인


  - #vi /etc/sysconfig/autofs : autofs 데몬의 전반적인 설정파일
      =====================================================================================
        BROWSE_MODE="yes"  : auto.master 값을 활성화 할 것인지의 옵션
      =====================================================================================


  - #vi /etc/auto.master    : autofs 데몬에 대한 마운트될 기본 디렉터리 및 설정파일을 지정
      =====================================================================================
          /misc (Autofs Base MP)  /etc/auto.misc (Autofs 주 설정파일)
      =====================================================================================


  - #vi /etc/auto.misc          : autofs 데몬으로 자동 마운트를 설정 및 옵션 내용을 지정
      =====================================================================================
      [ Mount Dir ]   [ FileSystemType & Option ]   [ Remote Mount DEV ]
          mp1              -fstype=nfs,rw,nosuid            10.1.1.50:/nfs_test1

    * Mount Dir : 경로명을 입력할 때 마운트될 디렉터리명만 입력 (MP:/misc/mp1)
    * Option : -fstype 으로 "nfs(Network), ext3(Local)" 마운트 옵션 이용, 구분자 "콤마(,)" 로 사용
    * Remote Mount DEV : Local 의 경우 (:장치 또는 :파티션명)
                                    Network 의 경우 (원격서버:공유Dir)
      =====================================================================================

AND

Windows 를 사용하다보면 사용자 계정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CMD>net user" 라는 명령어로 현재 Windows 시스템의 사용자를 알 수 있죠.

다만, 가끔 비밀번호를 잊어버리거나 변경 후 다시 확인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Windows 안전모드로 부팅해서 간단하게 변경하실 수 있어요^^

"CMD>net user [UserName] [Password]" 라고 입력하시면 간단하게 변경가능합니다. ㅎㅅㅎ


다만, administrator 의 경우는 복구모드.
 
즉, 안전모드 상태로 Windows를 로딩하시고 "CMD>net user 
administrator [Password]" 로

변경하시어야 적용하실 수 있어요. 참고하셔요^^ 

AND


VNC라는 원격 접속 프로그램보다 빠른 속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원격 접속프로그램인 putty 나 secureCRT 와는 다른 원격프로그램입니다.

본 프로그램은 터미널 접속이 아닌 리눅스의 X-window 에 원격 접속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일단!

홈페이지 : http://www.nomachine.com/

접속후 Download 탭 클릭!



다음으로 NX Free Edition for Linux 클릭!



다음으론 현재 사용하고 있는 리눅스 버전을 찾아 항목을 클릭!



다음 항목에서
Download client, Download node, Download server
세가지 항목을눌러 모두 다운하세요.



파일 3가지가 다운이 되었다면!
nxclient-3.5.0-7.x86_64.rpm
nxnode-3.5.0-7.x86_64.rpm
nxserver-3.5.0-9.x86_64.rpm
설치 합시다ㅋ

윈도우에서 다운을 받았다면 당연히 리눅스로
옮겨주세요! (FTP, USB) 고고싱!

이제 설치 합니다
#rpm -ivh nxclient-3.5.0-7.x86_64.rpm
#rpm -ivh nxnode-3.5.0-7.x86_64.rpm
#rpm -ivh nxserver-3.5.0-9.x86_64.rpm

설치가 완료 되었다면!
#vi /usr/NX/etc/server.cfg

EnableUerDB="0" 항목을 EnableUerDB="1" 로 변경!
EnablePasswordDB="0" 항목을 EnablePasswordDB="1" 로 변경!
#SSHDAuthPort="22" 의 # 주석처리 제거
EnableClipboard="both" // 운영체제 간의 복사등의 기능을 설정.

ssh 사용 포트가 막혀 있다면 당연히 포트를 열어 주세요!
포트를 여는 방법은 검색 고고 하세요 ㅋ
방화벽 재구동 해주시고요!

이제 원격 접속에 필요한 사용자를 생성해 줍시다!
#useradd test10 <-- 리눅스에사용자 추가!
#passwd test10 <-- 추가된 사용자 비번 설정!
(리눅스에 실제 사용자가 있어야 접속이 가능 합니다!)

이제 원격 접속을 위해 프로그램에 사용자를 등록 합니다!
#/usr/NX/bin/nxserver -useradd test10 --system

--system 을 뒤에 붙여주면 관리자권한 부여가 됩니다.
입력 후 패스워드를 지정하세요!

NXserver 재구동!
#service nxserver restart 혹은 #/etc/rc.d/init.d/nxserver restart

이제는 윈도우에서 접속해 봅시다!
Download 탭의 윈도우 클라이언트 클릭!


다운로드 패키지!



다운로드 후 설치를 진행하고 실행하면.


세션이름은 임의로 적고, 접속하려는 리눅스의 아이피를 입력.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KDE 혹은 GNOME 선택 -> 넥스트!



아까 생성한 test10 사용자 이름과 암호 입력! -> 접속!


개인적으로 이 프로그램을 CentOS에서는 사용해보지 않았습니다..

우분투 ver.10.10 사용을 확인 했습니다.
ssh 키 생성과 키 import 부분은 다루지 않았습니다.
키를 생성하지 않고 사용하면 default 키를 입력받는 형식인가 봅니다.
우분투에서는 key 생성과 import 부분을 다 해보았는데..
나중에 CentOS 에서 해보고 후기 다시 올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ㅋㅋㅋ

     - 백업종결자 씀 -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