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포스팅은 ReadyFor4Gb 란 프로그램입니다.
32비트 운영체제의 경우 CPU 연산체계에 따라 4GB 이상의 메모리를 인식하지 못하지요...
MS 에서 제공하는 "ReadyFor4Gb" 란 프로그램을 이용해보세요^^
커널 파일인 ntkrnlpa.exe 파일을 패치한 다음 ntkr128g.exe 라는 이름으로 하나 저장해두고
부팅시 패치된 커널파일을 선택하여 부팅할 수 있도록 멀티부팅 메뉴에 추가해주는 방식입니다.
친구들한테 자랑하기 좋겠죠^^ 천천히 하나씩 진행해 가도록 할테니 잘 따라오세요^^
먼저 아래의 "ReadyFor4GB.zip" 압축파일을 다운로드 하세요.
압축 해제 후 나타나는 "00_ReadyFor4GB.exe" 파일을 실행하세요.
아래와 같은 화면이 출력되면 "Apply" 눌러서 커널을 패치하세요.
적용하시고 나면 아래와 같이 "ntkrnlpa.exe" 라고하는 커널파일을 적용할 것인지 확인합니다. ("예"를 클릭)
커널파일이 패치가 완료되어서 "C:\Windows\System32\ntkr128g.exe" 파일로 생성했다는 안내 메세지입니다. ("확인"을 클릭)
패치가 완료되고나면 아래와 같이 패치적용사항이 출력됩니다.
패치가 모두 완료되고 나면 대화창은 그냥 내려두시고 나서 위에서 다운 받은 압축 파일내
"01_AddBootMenu.cmd" 파일을 우클릭 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을 클릭하세요.
그 후 CMD(명령 프롬프트)를 열어 "bcdedit" 입력 후 부팅메뉴에 패치된 모드가 추가된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Microsoft Windows [Version 6.0.6002] [128GB with ntkr128g.exe]
위와 같은 "description" 으로 부팅 메뉴에 추가될텐데요.
수정하시고 싶으시면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프롬프트에서 입력하시면 됩니다.
첫번째로 추가한 메뉴가 기본 운영체제로 선택하는 명령어 입니다.
도스프롬프트>bcdedit /default {identifier}
두번째로 추가한 메뉴의 표시 목록을 수정하는 명령어 입니다. (빨간색은 자신의 "identifier" 를 입력하세요.)
도스프롬프트>bcdedit /set {identifier} description "입력하고 싶은 부팅메뉴"
모든 수정을 마치셨으면 재부팅 후 부팅 메뉴에서 입력했던 메뉴로 부팅하면 자신의 메모리 인식내용이 4Gb 이상 모두 인식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 추가 옵션 사항 ]
부팅메뉴에서 기존 부팅 내용을 삭제하여 계속 4gb 이상 메모리를 사용하도록 설정하자.
1. CMD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명령어로 입력하여 메뉴를 삭제하기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삭제하고 싶은 메뉴를 부팅관리자에서 제거하자. (빨간색은 삭제를 원하는 identifier 를 입력하세요.)
도스프롬프트>bcdedit /delete {identifier}
2. Windows 부팅관리자에서 메뉴를 삭제하기
첫번째로 아래의 스크린 샷과 같이 실행창에서 "msconfig"을 입력합니다.
두번째로 출력된 시스템 구성의 부팅관리자에서 부팅메뉴의 내용을 수정합니다.
* 대화창내 부팅목록 중에서 내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세요.
* 파란색 사각박스를 클릭하시면 기본 부팅 메뉴로 설정됩니다.
* 필요없어진 부팅 메뉴는 삭제하시면 됩니다.
=========================================================================================================================================='Windows > Tip &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캐시 삭제하기!! (0) | 2017.03.29 |
---|---|
[Windows] User Password 관련 Tip (1) | 2012.02.24 |
Windows 새로 설치 후 Interface 정보를 설치해보자. (1) | 2011.08.11 |
Windows 실행창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는??? (1) | 2011.07.31 |
Windows 충돌 및 Windows Server 2003, XP 클립보드에 "이미지 복사 0x50 중지" 오류 수정하기!!! (0) | 2011.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