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fstab은 파일시스템들을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정보들을 저장합니다.
 또한, 부팅시에 자동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설정 할 수 있습니다
.  이 파일의 정보가 조금이라도 잘못되면
부팅과정의 파일시스템 마운트 단계에서 다운되게 됩니다.

이 파일에 설정되는 내용들은 파일시스템의 장치명들과 마운트포인트
(마운트될 위치, 디렉토리),
파일 시스템의 옵션들을 사용합니다.

이 파일에서 설정될 수 있는 파일시스템의 정보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해당 파일시스템의 장치명(device name)
  -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될 마운트포인트(디렉터리명)
  - 파일시스템 타입(ext2, ext3, swap 등등)
  - 파일시스템을 어떤 형식(읽기전용,읽고쓰기)으로 마운트할 것인가?
  - Quota 정책을 사용할 것인가?
 
- 일반사용자도 마운트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인가?
 
-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를 할 것인가?
 
- SetUID, SetGID 설정을 적용할 것인가?
 
- fsck로 파일시스템 검사에 대한 검사 순서를 설정

위와 같은 정보들이
"/etc/fstab" 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그럼
, 먼저 "/etc/fstab" 파일의 실제 그림을 보면서 내용을 짚어 가겠습니다.

[ 그림 /etc/fstab ]


/etc/fstab
파일의 구조

먼저
, fstab파일의 각행은 모두 6개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6개의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파일시스템 장치명 / 마운트 포인트 / 파일시스템 종류 / 옵션 / dump 관련 설정 / 파일점검 옵션 ]

파일시스템
장치명

마운트포인트

파일시스템
종류

파일시스템
속성

dump설정

체크옵션

LABEL=/      

ext3

defaults

1

1


위의 형식은 리눅스의 /etc/fstab파일을 나타내는 기본 구조이며, 각 항목은 반드시 "tap(→|)" 으로 구분합니다.
/etc/fstab
파일을 이해하려면 무엇보다도 위의 각 항목들의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위의 설정항목들을 하나씩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ㄱ.파일시스템 장치명
: /etc/fstab파일의 첫번째 항목
   /etc/fstab 에서 첫번째로 설정되는 항목으로 파일시스템의 장치명을 설정합니다. "/dev/sda1", "/dev/hda2"
  파일시스템 장치명을 입력하는 자리입니다
.
 
만약 관련 파일시스템에 레이블(LABEL)이 설정되어 있으면 장치명 대신 레이블명으로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ㄴ.마운트 포인트
: /etc/fstab파일의 두번째 항목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될 위치
로써 마운트포인트라고 합니다.  쉽게 설명해서 "/" 또는 "/home"과 같은 디렉터리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 위의 그림에서 "/home" "/var" 등과 같은 부분이 "마운트포인트" 입니다.

 ㄷ.파일시스템 종류
: /etc/fstab파일의 세번째 항목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home" 이란 마운트포인트를 사용하는 파일시스템 종류는 ext3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 또한 "LABEL=SWAP-sda3" swap파일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그리고 여기에 올 수 있는 파일시스템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ext ]
    - 초기 리눅스에서 사용했던 파일시스템으로 현재는 사용 X.
  [ ext2 ]
    -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파일시스템. (특징 : 긴 파일명을 지원)
  [ ext3 ]
   -
저널링 파일시스템으로서 ext2에 비해 "파일시스템 복구기능"과 "보안" 부분을 크게 향상시킨 것으로
      현재는
ext2보다 ext3을 기본 파일시스템 타입으로 사용함.
  [ iso9660 ]
    - CD-ROM 드라이브의 표준 파일시스템으로서 "읽기전용"으로 사용함.
  [ nfs ]
    - Network File System의 약자로서 원격서버에서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할 때 사용함.
  [ swap ]
    - 스왑 파일시스템으로서 스왑공간으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에 사용함.
  [ ufs ]
    - UNIX FileSystem의 약자로서 UNIX SYSTEM 계열에서는 표준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함.
  [ vfat ]
    - 윈도우 95 98, 그리고 NT를 지원하기 위한 파일시스템(Fat 방식의 파일시스템).
  [ msdos ]
    - MS-DOS파티션을 사용하기 위한 파일시스템.
  [ ntfs ]
    - 윈도우NT 2000 NTFS파일시스템을 사용하기위한 파일시스템.
  [ hfs ]
    - Mac컴퓨터의 hfs 파일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파일시스템.
  [ ramdisk ]
    - RAM 디스크를 지원하는 파일시스템.

  리눅스에서 지원가능한 파일시스템은 매우 많지만, 대체적으로 위의 범주에서 사용되며, 아래는 지원되는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알려드리니 참고하세요.

  - 
리눅스에서 지원되는 파일시스템의 종류들 -

adfs / affs / autofs / coda / coherent / cramfs / devpts / efs / ext2 / ext3 /
hfs / hpfs / iso9660 / jfs / minix /
msdos / ncpfs / nfs / ntfs / proc / qnx4 / reiserfs / romfs / smbfs / sysv / tmpfs / udf / ufs / umsdos / vfat /
xenix /
xfs

이와 같은 파일시스템들을 모두 지원가능하지만 모두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
현재 사용하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지원가능한 파일시스템을 확인하려면 "/proc/filesystems" 로 알 수 있습니다.

 ㄹ. 마운트 옵션 종류 : /etc/fstab파일의 네번째 항목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될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 default ]
    - 모든것
  [ noquota ]
    - 쿼터 설정을 사용안함
  [ quota ]
    - 쿼터 설정을 사용
  [ nosuid ]
    - SUID접근 불가능

  [ suid ]
    - SUID접근 가능
  [ ro ]
    - 읽기 가능
  [ rw ]
    - 읽기 쓰기 가능


 ㅁ. 덤프인자 : /etc/fstab파일의 다섯번째 항목
파일시스템이 덤프될 필요가 있는지 설정합니다.
  [ 0 ]
    - 덤프될 필요없음
  [ 1 ]
    - 덤프가 필요함

 ㅂ. 체크시퀀스 번호 : /etc/fstab파일의 여섯번째 항목
fsck에 의해 수행되는 무결성 검사를 위한 파일시스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 0 ]
    - 체크 안함
  [ 1 ]
    - 우선적으로 체크
  [ 2 ]
    - 1번이 끝난 후 체크


이상으로 "/etc/fstab"에 관하여 내용을 읊어 봤는데요... 내용을 쓰면서 저도 공부를 하게되니 참으로 유쾌하네요 ㅎ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