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Booting 이란?

  - PC가 전원이 ON이 되고 OS가 동작하여 Login 이 가능한 상태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이야기한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부팅이되는 정보를 소개합니당~!

 

   ㄱ. 전원 ON 상태가 되면 최초 220v 의 전기 신호가 Power Suply 를 통해 12v, 5v 등 pc 에서 사용하는 전기 신호 형태로 전환

   ㄴ. 전환된 전기신호는 MainBoard로 이동하여 각 장치에 해당하는 곳으로 이동 (Bios를 참조)

   ㄷ. Bios 라고 불리는 North Bridge 와 South Bridge 를 통해 OS가 설치된 HDD를 탐색

   ㄹ. 탐색된 HDD에서 0번 블록이면서 512Kb 짜리의 작은 용량의 MBR로 이동

   ㅁ. MBR에서 존재하는 Boot Loader를 이용하여 디스크, 파티션, 운영체제 정보를 확인

   ㅂ.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OS를 동작

   ㅅ. OS가 동작하여 ID/PW 을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Login 이 가능한 상태)

 

 

2. Master Boot Record & boot sector(boot record)

    

    * 운영체제별 Boot Loader

                                                                                   - Windows 7     : bootmgr

                                                                                 - Windows XP    : ntldr

                                                                                     - Linux          : Grub / LILO

                                                                


3. "Grub" Boot Loader
 - MBR에 booting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여 가지고 있으며, 디스크와 파티션 그리고 운영체제 정보가 기재되어 있어

   부팅에서 꼭 필요한 파일  

4. Partition
  ㄱ. Primary : 4개까지만 허용한다.
  ㄴ. Extanded : 1개만 허용한다.
  ㄷ. Logical : Extanded 파티션이 있는 경우 Logical 파티션이 1개이상이 필요
                    ※해당 파티션의 경우 파티션 넘버가 "5" 부터 시작.

5. 각 Type 별 Device / Partition 표현식
  [ Device HDD info ]
     - IDE : /dev/hdX

              (ex : /dev/hda, /dev/hdb ...)


     - SCSI : /dev/sdX

              (ex : /dev/sda, /dev/sdb ...)

 


  [ Partition HDD Info ]
     - IDE : /dev/hdX? 

              ex : /dev/hda1, /dev/hda2, /dev/hda3 .....
                    /dev/hdb1, /dev/hdb2, /dev/hdb3 .....

     - SCSI : /dev/sdX?

              ex : /dev/sda1, /dev/sda2, /dev/sda3 .....
                    /dev/sdb1, /dev/sdb2, /dev/sdb3 .....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