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ARTICLE Unix/Solaris | 2 ARTICLE FOUND

  1. 2011.04.01 Admin Command
  2. 2011.03.11 Solaris10 기본 환경 설정하기!!!

Admin Command

Unix/Solaris 2011. 4. 1. 12:11
[ 현재 시스템의 Architecture를 확인 ]
# arch -k
   ▶Display The kernel architecture 

[ Inode 삭제 명령어 clrl ]
# clrl /dev/dsk/c0t1d0s7 231 
   ▶231 inode를 삭제 

[ Text파일에서 특정 문자 추출해내는 명령 cut ]
# cut -d":" -f1 /etc/passwd > /tmp/user 
   ▶passwd file에서 유저부분만 추출해서 /tmp/user 파일로 저장
# ypcat passwd | cut -d":" -f1 > /tmp/user 

[ Disk 사용량 계산 ]
# du -s
   ▶현재 및 SUB-dir까지의 전체 Disk사용량 (du:disk use) 
      = -k  : killo byte 단위로 확인 

[ Text file의 비교와 Directory간의 상이한 내용의 비교 ]
# diff /a /mnt
   ▶/a, /mnt directory 를 비교
# diff /a /b
   ▶/a, /b Text file 의 비교 

[ EEPROM의 내용을 명령행 에서 변경 ]
# /usr/sbin/eeprom
   ▶상태확인
# /usr/sbin/eeprom boot-device=disk3
   ▶값 변경 

[ File type을 확인 할때 ]
# file /etc/passwd 
   ▶/etc/passwd : 아스키 텍스트
# file core
core
   ▶ELF 32-비트 MSB 코어 파일 SPARC 버전 1, 원인수행 'sleep'
      = 이건 core file 이 왜 생성됬는지 보고 하고 있다. 

[ File or Directory 을 지울때 ]
# rm file_name
   ▶단일 파일을 지운다.
# rm -r /dir_name
   ▶디렉토리까지 전부 삭제한다.
# rm -i file_name
   ▶파일을 지우기 전에 한번 더 확인한다.
# rm 'file name'
   ▶중간에 공백이 있는 파일 지울때. 

[ File 검색을 위한 명령어 ]
# find ~ -name '*%' -print -exec rm {} \; 
   ▶home 디렉토리 '%'로 끝나는 화일 탐색하여 보여주면서 삭제 

   ※ find 옵션
      -atime n : n 일자까지 접근한 내역을 검색 
      -ctime n : n 일자까지 변경한 내역을 검색
      -mtime n : n 일자까지 수정한 내역을 검색
      -perm : 해당 되는 허가권 파일 검색 

[ Key input 제대로 안될 때 Remote에서 Key mode를 바꾼다. ]
# kbd_mode -a 

[ Process를 강제 종료 시킬때 ]
# kill pid
   ▶통상 process 종료 시킬때
# kill -9 pid
   ▶강제 종료 시킬때
# kill -HUP pid
   ▶process를 hangup
# kill -SEGV pid
   ▶process를 강제로 segmentation fault 시킬때 

[ Process관련 명령어 ]
/usr/proc/bin 의 Directory에 다수가 있다. 
   ※ proc tools
      - proc, pflags, pcred, pmap, pldd, psig, pstack, pfiles, pwdx, pstop, prun, pwait, ptree, ptime ... 

[ File list를 표시한다. ]
# ls -al
   ▶모든 file들을 long형태로 자세히 listing
# ls -ald
   ▶directory를 확인 할 때
# ls -li
   ▶inode number를 보고자 할 때 

[ NIS 의 기동 여부 확인 ]
# nisls -l
   ▶만일 서버가 다운되었다면 "NIS+ server unreachable" 같은 메시지가 뿌려진다.

[ 특정 Disk partition 의 자세한 정보 획득 ]
# prtvtoc /dev/rdsk/c0t0d0s0
   ▶volume Table 의 내용 볼 때 c0t0d0s0 slice에 대한 자세한 Information을 보여준다. 

[ 시스템의 상세 Configuration을 확인하는 명령어 ]
# prtconf
   ▶System Configuration을 보여준다.
# sysdef
   ▶Current system definition을 출력
# /usr/platform/`uname -i`/sbin/prtdiag
   ▶H/W 정보 (sol 2.6)
; Display system diagnostic information
; SUN 장비에만 적용되고 Axil등에서는 안됨. 

[ CPU를 Enable 또는 Disable ]
  ==psrinfo , psradm
# psrinfo [-v]
   ▶CPU 정보확인
# psradm -f 2 3 
   ▶2,3번 CPU를 off_line
# psradm -n 2 3 
   ▶2,3번 CPU를 on_line
      = 대형 서버 등에서 CPU 수를 제한하여 성능 test할 때 유용하다. 

[ /etc/shadow 파일의 update ]
# pwconv
   ▶/etc/shadow file 생성 및 modify 

[ 실행된 명령어들 Display ]
lastcomm 설정방법
# touch /var/adm/pacct
 ※보안유지가 필요한 곳이라면, 다른 DIR에 다른file_name으로 숨겨도 되지만 볼때는 반드시
    '/var/adm/pacct' 로 copy하여 놓은후 사용해야 함.
# cp /usr/lib/acct/accton /var/adm/pacct
# lastcomm 

[ Sytem Reconfiguration BOOT ]
# reboot -- -r
   ▶장치 인식을 위해 리부팅하는 옵션
    ※hot-swap 이 지원되는 장비의 경우는 '# devfsadm' 명령어로 가능하다.

[ rlogin 접속 ]
# rlogin -l hong basic
   ▶hong으로 basic시스템에 콘솔 접속 

[ Key-in을 위한 I/O setting ]
# stty -a
   ▶setting된 key 들을 보여준다
# stty erase ?임의의키?
   ▶erase 단축기능을 임의의 키로 바꿀 때. 

[ 현 유저소유의 비어있는 파일을 생성 시킨다. ]
# touch cream

[ process,가상메모리,디스크,cpu Monitoring 통계치를 보여준다 ]
# vmstat 1 100
   ▶1은 interval이고, 100은 count이다. 

[ 현재 접속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뿌린다. ]
wall
   ▶write to all users --> /usr/sbin/wall [-a] [-g] [filename]
      - 기능 : Broadcast Message from ...
      - option : -a broadcast message to the console and pseudo-terminals.
      -g grpname broadcast to a specified group only.
# wall -a text_file
   ▶text_file의 내용이 터미널 에 뿌려진다. 

[ 접속 사용자 확인 명령어 ]
# who -a
   ▶접속상태 의 자세한 정보
# who -r
   ▶현재 RUN Level 확인 

[ 프레임 버퍼의 상태 변경 ]
# /usr/platform/'uname -i'/sbin/cg14config 

[ 시스템 log file 들 ]
/var/adm/utmp , /var/adm/utmpx
/var/adm/wtmp , /var/adm/wtmpx
/var/log/syslog
/var/adm/pacct
 ※ last 등의 명령어로 위 파일들의 내용을 볼 수 있는데, 유저의 사용상황은 계속 쌓이게 된다.
     그런이유로 위 파일이 비대해지면, zero파일로 만들어 줄 필요가 있으며 아래 방법을 참고.
       = #cp /dev/null utmp

[ C2 보안 레벨 이용 명령 ]
※ /etc/security/bsmconv , /etc/security/bsmunconv
   - 위의파일 이용하여 특정 호스트 및 유저의 활동상황을 감시할수 있다 


'Unix > Solar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laris10 기본 환경 설정하기!!!  (0) 2011.03.11
AND

[ 자신의 개인적인 환경 설정 ]
 

1. login shell을 설정
# passwd -e
old shell : /sbin/sh
new shell : /bin/ksh  : 대부분의 solaris 관리자는 ksh을 사용


2. $HOME/.profile 생성 및 편집

  => solaris 에서 기본적으로 root(관리자)에게는 ".profile" 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원형파일을 복사하여 사용 
# cp /etc/skel/local.profile $HOME/.profile
# vi $HOME/.profile : 프로파일을 생성 및 편집수정
==========================================================================================================================
# @(#)local.profile 1.8 99/03/26 SMI
stty istrip
ENV=/.kshrc
EDITOR=vi
PATH=/usr/local/bin:/usr/sadm/admin/bin:/usr/dt/bin:/usr/openwin/bin:/usr/ccs/bin:/usr/sbin:/sbin:/bin:/usr/bin:/usr/ucb:
/etc:.
MANPATH=/usr/share/man:/usr/dt/man:/usr/local/man/usr/openwin/share/man:/usr/man
export PATH ENV EDITOR DISPLAY MANPATH
#
# If possible, start the windows system
#
if [ "`tty`" = "/dev/console" ] ; then
         if [ "$TERM" = "sun" -o "$TERM" = "sun-color" -o "$TERM" = "AT386" ]
         then
                   if [ ${OPENWINHOME:-""} = "" ] ; then
                           OPENWINHOME=/usr/openwin
                           export OPENWINHOME
                   fi
         echo ""
         echo "Starting OpenWindows in 5 seconds (type Control-C to interrupt)"
         sleep 5
         echo ""
         $OPENWINHOME/bin/openwin
         clear # get rid of annoying cursor rectangle
         exit # logout after leaving windows system
 fi
==========================================================================================================================
# . $HOME/.profile : 수정한 프로파일을 실행


3. $HOME/.kshrc 생성 및 편집

# vi $HOME/.kshrc : 쉘 스크립트 생성 및 편집
==========================================================================================================================
PS1=[$LOGNAME@`hostname`:'$PWD]# ' <--- 쉘 변수 설정
export PS1 <--- 변수를 export한다.

set -o vi <--- korn shell을 설정한다.

alias ls='\ls -F' <--- alias을 설정한다.
alias ll='\ls -alF | more'
alias mv='\mv -i'
alias cp='\cp -i'
alias rm='\rm -i'
==========================================================================================================================
# ksh
# . $HOME/.kshrc : 쉘 스크립트 실행

위 생성한 스크립트를 실행한 다음은 아래와 같이 프롬프트 형태가 변경 
"[root@test:/]#"


4. vi 편집기에 대한 환경설정

# vi $HOME/.exrc : 편집기의 환경 스크립트 편집
==========================================================================================================================
set showmode sm nu
set ai nolist
==========================================================================================================================
# . $HOME/.exrc : 편집기의 환경 스크립트 실행



[ 설정사항 확인 방법 ]
 

1. 사용자의 로그인 쉘을 확인
# cat /etc/passwd | grep 사용자명(root) 
root:x:0:1:Super-User:/:/bin/ksh

2. 쉘 프롬프트를 확인
[root@test:/]#

3. vi 환경설정 확인
# vi testfile
( ) : "( )"을 입력하면 커서가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Unix > Solar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min Command  (0) 2011.04.01
AND